타사 제품인 오존발생장치의 문제점과
당사 제품(플라즈마케어)에 대한 차별점 소개
--------------------------
◎. 주요 참고
문헌 (오존발생장치에 대한 문제점 등 발췌)
·
Junhong Chen, "Direct-Current Corona Enhanced
Chemical Reactions", Ph.D. Thesis, University of Minnesota, USA. August
2002.
·
F.W. Peek (1929), "Dielectric Phenomena in High
Voltage Engineering", McGraw-Hill, ISBN 0-9726596-6-8.
·
Leonard Loeb (1965). Electrical Coronas Their Basic
Physical Mechanism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James D. Cobine (1941, reprints in 1958, 1970)). Gaseous
Conductors; Theory and Engineering Applications. McGraw-Hill or Dover reprints.
·
실내공기 오염물질 분석과 저온플라즈마-수산기를 이용한 공기질 개선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8
◎. 서론
플라즈마케어의 저온산소플라즈마 기술을 반드시 선택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오존발생장치'의 문제점들을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내용을
구성 하였습니다. 또한
이에 반대로 플라즈마케어의 저온산소플라즈마 기술이 타
기술들과는 어떻게 다른지 근거자료를 통해 설명 합니다.
◎. 오존발생장치의 주요 문제점
1. 과도한 오존발생량 (타사 제품)

일반적으로 코로나방전을 통해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전극판'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 하고 있습니다. 높은
전위의 전극으로 부터 발생하는 반응을 통해 주변의 산소분자를
깨어 '오존'을 발생 시킵니다. 오존은 살균력이 있지만 반감기가 길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잔류하게 되면 대기중의 오존 농도가 높아지고
높은 농도의 오존은 농산물과 사람에 피해를 주게 됩니다.
반면, 존플라즈마의 플라즈마케어는 진공자외선램프를 이용 합니다.
(전극판과 같은 오존발생기와는 전혀 다릅니다)

C사의 실내 오존농도 측정치를 참고해보면
오존발생장치 가동시 실내
O3의 농도 300ppb(0.3 PPM), NOx는 최고
25ppb(0.025PPM) 으로
환경부 규정 기준치에 최고 6배 이상에 달하는 실내 오존 농도 입니다. 20분 가동후 측정한 것을
보면 장시간 오존발생기를 가동하면 그 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할것으로 보입니다.
( 오존의 반감기는
온도에 따라 다르나 대기중에서는 2~12시간 정도 잔존 한다. )
2. 부산물인 질소산화물
코로나방전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과한 오존발생도 있지만 '질소산화물(NOx)'이 발생한다는 점도
문제가 됩니다. 질소산화물은 대기중의 질소분자에서 떨어져나온 'N' 원자가 산소종인 'O'를 만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질소는 높은 열이나 에너지에
의해 깨지게 되는데 코로나방전에서 순간적으로
나오는 높은열이 N분자를 깨면서 NOx의 부산물들이 생성되게 됩니다.
반면, 당사의 '플라즈마케어'의 진공자외선램프는 질소를 건드리지 않는 파장내에서만
작동하며, 오히려 질소산화물을 최대 90%이상 분해 합니다.
3. 관리의 문제
오존발생장치가 또하나 문제되는 부분은 '관리의 문제' 입니다. 오존발생장치
제품들은 대부분 전극판
형태의 코로나방전 오존발생장치인데 이는 공기중에 노출되어있어 먼지와 같은 대기중의 오염물질에
취약하고 전극판에 쌓이게 되면
불안전한 코로나방전을 지속하게 되어 오존발생량 불균형, 공해 부산물
등을 생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오존발생장치 중 일부는 전극판을 정기적으로 닦기를 권고하고 있는데
이는 농가 입장에서 쉽지 않은 일입니다.
또한, 오존발생장치의
코로나방전 기술은 오존 발생량을 제어 할 수가 없어서 타이머를 같이 부착하여
오존발생량을 수동으로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농산물의 양과 종류 그리고 창고크기 등에 따라
지속적으로
타이머를 재수정해야 하는 큰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됩니다.
전극판을 사용하는
오존발생장치의 2개 회사에서 제품을 설치하고 저장고 앞단에 부착하는 경고 문구를 보면
주요 내용은 작업 전 저장고 반드시 '환기 후 작업' 와 '전극판 청소', '과다
노출시 생리장해' 등 에 대한 문구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4. 농산물 약해 문제
- 농산물이 오존 0.1PPM 이상 장시간 노출시 미치는 영향
호흡량 증가, 동화작용
억제, 표피이상현상 발생, 갈색반점 발생, 노화촉진
황화현상, 갈변현상, 표피 반점 등
오존으로 농산물의 장기저장을 하기 위해서는 저장고 내에
오존을 계속해서 방출해야 하는데 오존은 반감기가
상대적으로 길고, 밀폐되어있는 저장고의 특성상 저장고
내에 오존의 농도가 계속해서 올라가게 됩니다.
민감한 작물의 경우 어느정도의 오존이 쌓이게 되면 위와
같이 생리 장해를 겪고, 이러한 생리장해가 지속되면
표피부터 시작하여 반점, 노화, 황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실제로 오존발생기 판매 회사인 'C사' 제품과 '플라즈마 'E사' 제품을
사용하고나서 농산물에 피해를 입게된 농가를 다수 확인 하였고 아래에 일부 사진을 공개 합니다.



반면, 당사의 '플라즈마케어'의 진공자외선램프는 이미 오존 수치를 환경부 지정내의
수치만큼 제어하고, 효율적으로 정화제를 발산하며 미국의 경우 실내 공기질정화에
사용가능한 기술임을 MRSA 등 안전물질 규제 등에 허가 된 기술 입니다.
- 타 기술들과의 차별성
( 저온산소플라즈마 살균력에 관한 논문 자료 발췌 )


표 4-1
참고) 박병호,
"저온플라즈마의 산업적 응용", 한국과학 기술정보연구원, 기술뉴스브리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