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에서 플라즈마를 통한 신선도유지장치인 플라즈마케어의
신선도유지 능력, 부패감소율 능력 등을 실증농가에서 테스트를 진행 하였습니다.
아래는 해당 자료를 통해 얻어낸 결과를 요약하여
본문제목. 플라즈마 (플라즈마케어) 기술을 이용한 농산물 저장성 향상 연구
1. 서언
플라즈마와 OH 라디칼을 발생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유해물질(바이러스, 곰팡이, 세균,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살균 분해하는 기술로서, 진공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제거,
새집증후군 해결, 악취 탈취 등 공기정화 분야에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농산물 저장시에 발생하는 유해 미생물로 인한 부패병의
진전과 생산물 품질 하락의 주요인인 중량 감소, 색상 변화 등을 시험하여 농산물의
품질 유지와 상품성을 제고한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2. 방법
저장고를 보유한 농가를 선정하여 일반 저온저장 조건을 주어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처리환경 조건은 플라즈마케어 저장에서24시간 처리와 온도 0~1℃,
상대습도 85% 조건을 조성하였고, 일반 저온저장에서는 플라즈마케어 조사를 제외한
모든 환경조건을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3. 시험작목 및 재료

고구마 브로콜리
시험재료는 봄철(3월~5월)에 시설재배 한 브로콜리 1기작 수확물을 이용하였고, 고구마는
4월경에는 고구마싹(삽식묘)을 그리고 괴근 수확기(9~10월)에는 완성된 괴근을, 사과는 10월
하순경에 수확한 ‘후지’ 품종을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플라즈마 조사장치는 존플라즈마에서 시판중인, 한국바이오존(주) 제조 HKF-10 소형 제품을
설치 하였다.

저장고내 설치모습 플라즈마케어 장치
A. 단기저장 중 병해 발생율
저온저장 기간 중 고구마 종묘의 부패병 발생은 플라즈마 조사 처리구에서 현저히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강한 살균소독 효과를 보이는 단파장의 자외선에 의해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sp.) 및 무름병균(Erwinia. sp.) 의 생육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B. 저장중 상품 색도 유지
그림7과 같이 플라즈마 처리구에서 고구마 삽식묘의 경엽 색상이 보다 녹엽 상태로 유지되었으며,
저온에 의한 호흡작용 억제로 엽록소의 소실이 적었고 또한 플라즈마 조사로 미생물의 침투 및
분해 작용도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C. 화뢰의 상품성 변화
브로콜리 화뢰(花蕾, flower bud)의 상품성은 수많은 개별 화기의 개화로 인한 전체 화총의 만개 진전
상태로 판단하는 바, 무처리구에서는 저온저장 2주후 각각의 소화기(floret)가 벌어져 전체적으로
거친 외관상태를 보인 반면 저온 플라즈마 처리구에서는 소화(小花)의 생장이 지연되어 수확
직후와 유사한 형태의 화총 다발(flower cluster)을 유지하여 상품성이 높게 나타났다.

D. 장기저장 시의 병해 발생율
고구마와 브로콜리를 2개월 이상 장기저장 시 잿빛곰팡이, 검은곰팡이 등 곰팡이성 병해의 진전도를
관찰한 결과 플라즈마 처리구에서 병해 이병율이 낮아 상품성이 높게 유지되었다.


E. 단기저장 시의 과실 갈변 억제

저장고 입고 후 약 40일 경에는 플라즈마 처리구에서 외관의 위축이 적고 색상 또한 대조구에 대비하여
밝고 갈변이 적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플라즈마(VUV) 처리가PPO(polyphenol oxidase) 등 과실의 갈변을
유발하는 산화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능을 일부 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F.종합 고찰
온저장 조건과 플라즈마(photo plasma) 처리를 조합하여 브로콜리와 고구마(싹, 괴근), 사과 등 농산물에
적용하여 장단기 저장 성적을 실험한바
상품의 색상 유지와 갈변 억제 및 장기저장 중의 선도 유지에 일정 부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플라즈마 처리구에서는 엽록소 소실 억제를 통한 고유의 색상 유지와 장기저장 시의 화뢰 생장 지연으로
상품 외관과 형태를 뚜렷이 높게 유지하는 결과를 보였다.